교육 사업

도심탐조와 야생조류 투명창 충돌 조사 프로젝트 : 이웃하는 새의 죽음

사업명
2022청소년주도프로젝트
사업기간
2022.4.9. ~ 2022.7.16.
주관처
광주광역시청소년삶디자인센터
태그
야생조류
문제해결
지역연계
프로젝트수업

프로그램 개요

수업소개

광주 도심에 서식하고 있거나 광주를 찾아오는 새(bird)를 만나고 알아가며 새의 시선에서 광주 도심 다시-보기를 시도하는 생명감수성 교육 프로그램이자, 인간의 편의를 위해 개발되고 설치된 인공 구조물로 목숨을 잃는 새들의 안타까운 죽음을 조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고 실험해보는 사회문제 해결 실험 프로젝트

기획배경

광주광역시는 개발을 거듭하며 급격히 팽창 중입니다.
도심의 면적이 넓어지고, 건물이 높아질수록 공원, 야산, 들판 등 도심 안팎의 녹지 면적은 줄어들고 있습니다. 또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산을 깎고, 들판을 밀고, 하천에 기둥을 세워 도로를 추가로 건설하고 있습니다. 도심 안팎의 녹지 면적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곳에서 살아가는 야생 동물들이 더는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. 집(서식지)을 빼앗긴 동물들은 어디로 갔을까요? 그곳에서 그들은 어떻게 살아갈까요? 배제하고 배척하며 무자비하게 착취하는 지금과 같은 방식이 정말 ‘어쩔 수 없는 일’일까요?
이름을 알고, 얼굴을 익히고, 목소리를 구분하고, 행동을 진득하게 관찰하는 것만으로 달라질 수 있는 관계가 있습니다.
동물들의 관계가 그렇습니다. 슬픔을 이기고 안타까움을 억누르며 기록하고 기억해야만 막을 수 있는 죽음이 있습니다. 동물의 죽음이 그렇습니다. 눈에 보이지 않아 멀리 있거나 곁에 없다 여겼던 다른 동물 대신, 더 가까이에 존재해 왔음에도 눈여겨보지 않아 없는 존재로 여겨져 왔던 ‘새(bird)’를 통해 마음의 거리를 좁히는 것부터 시작해 봅시다.
도심에서 새를 만나고, 알아가고, 이해하는 시간이 쌓일수록 여러분의 세상은 조금 더 넓어질 거예요.
우리가 사는 광주 도심이 내 이웃인 새에게 얼마나 위험한 곳인지 알아보고, 광주광역시가 새를 죽이는 도시가 아닌 새를 살리는 도시가 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해 봅시다.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보고 실천해 봅시다.

커리큘럼

Search
차시
주제
세부내용
장소
동물을 본 적 있나요?
- 성난비건 소개 - 생명을 보는 눈, 생명을 먹는 입, 생명을 입는 몸 - 마음의 거리 좁히기 - 동물로서 쓰고 말하기 - 종 평등한 시간을 만들기 위한 약속 정하기
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
인간적인, 너무나도 인간적인
- 새 별칭 및 새 이웃 소개 - 새를 본 적 있나요? - 도심과 자연, 그리고 새 - 새를 죽이는 도시, 새를 살리는 도시 - 새 삶 찾기 활동 소개 - 새의 이웃이 되는 방법
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
새를 만나고 기록하는 사람
이우만 작가 특강 - 관찰하고 기록하기
온라인비대면 (zoom)
여기 새도 산다 : 도심 천변에서 만난 새
- 쌍안경 사용법 익히기 - 새를 존중하는 태도 배우기 - 도심 천변에서 만날 수 있는 새 알아보기 - 도심 천변에서 새 만나기 - 기록 남기기 및 소회 나눔
영산강자전거길안내센터(극락친수공원) 일원
여기 새도 산다 : 도심 공원에서 만난 새
- 도심 공원에서 만날 수 있는 새 알아보기 - 도심 공원에서 새 만나기 - 기록 남기기 및 소회 나눔
5・18기념공원 일원
새의 죽음을 기록하는 사람
김윤전 국립생태원 외부연구원 특강 - 새는 왜 유리창에 충돌하는가? - 야생 조류 유리창 충돌 피해 현황 -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?
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
새의 죽음 기록하고 증언하기
- 아파트 탐조 - 조류 충돌 모니터링 및 기록 - 기록 등록 및 소회 나눔
광주 일원
새의 죽음 기록하고 증언하기
- 아파트 탐조 - 조류 충돌 모니터링 및 기록 - 기록 등록 및 소회 나눔
광주 일원
새의 죽음 기록하고 증언하기
- 아파트 탐조 - 조류 충돌 모니터링 및 기록 - 기록 등록 및 소회 나눔
광주 일원
새의 입장에서 도시 다시-보기
- 탐조 및 모니터링 경험 돌아보기 - 새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알아보기 - 시민 실천 사례 알아보기 - 캠페인 또는 액션 기획하기
광주 일원
새의 입장에서 도시 다시-보기
- 캠페인 또는 액션 준비하기 - 세부 계획 수립 - 역할 분담
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
내가 만난 새
- 캠페인 진행 - 소회 나눔 - 도심 공원&천변 탐조 - 나와 새의 관계 되돌아보기 - 새를 보는 눈, 새를 듣는 귀, 새를 생각하는 마음
ACC상상마당(회화나무숲 앞) 일원
COUNT12

함께한 사람

Search
강사진 소개

프로젝트에서 우리는,

2022년 6월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조사 통계 with 이웃새
그 아파는 위험하다 ー 이웃새가 뽑은 저감조치 우선순위 대상 인공 구조물

프로젝트 이후 우리는,

 2022 우직한 한마당 사례발표 공감상 수상
 광주광역시청소년삶디자인센터 미화벼리 대상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조사 안내
 자료함